광주 광산구 6월 지방선거 사전투표 장소 내 투표소 찾기를 알아보자. 광주 광산구 6월 지방선거 사전투표 장소가 발표되었다. 사전투표일은 5. 27(금) ~ 5. 28(토) 오전 6시 ~ 오후 6시까지이다.

 

 

코로나19 확진 유권자의 투표시간은 방역지침에 따라 변경될 수 있다. 광주 광산구 외에도 2022년도 6월 지방선거 사전투표는 전국에 설치된 사전투표소 어디서나 가능하다. 광주 광산구 코로나19 격리자 등 유권자는 5월 28일 오후 6시30분 부터 오후 8시 까지 투표할 수 있다.

 

광주 광산구 6월 지방선거 사전투표 장소 내 투표소 찾기

광주 광산구 6월 지방선거 중앙선거관리위원회 홈페이지

 

 

광주 광산구 6월 지방선거 사전투표 장소는 다음과 같다. 선거일인 6월 1일 내 투표소 찾기는 중앙선거관리위원회 홈페이지에서 확인할 수 있다. 투표소, 투표 그리고 개표 정보에서 확인한다.

 

👉내 투표소 찾기

 

👉2022 지방선거 사전투표 방법

 

👉국회의원 보궐선거 사전투표소

 

👉6.1 지방선거 선거일 투표 방법

 

 

구시군명 읍면동명 사전투표소명 설치장소(건물명) 소재지
광산구 송정1동 송정1동사전투표소 송정1동행정복지센터(1층, 소회의실) 광주광역시 광산구 광산로 92 (송정동)
광산구 송정2동 송정2동사전투표소 광산구청(7층, 대회의실) 광주광역시 광산구 광산로29번길 15 (송정동)
광산구 도산동 도산동사전투표소 행복나루노인복지관(3층, 대강당) 광주광역시 광산구 송정로52번길 20 행복나루노인복지관 (도산동)
광산구 신흥동 신흥동사전투표소 송정동초등학교(1층, 쉼터) 광주광역시 광산구 사암로27번길 58 (신촌동)
광산구 어룡동 어룡동사전투표소 어룡동행정복지센터(1층, 세미나실) 광주광역시 광산구 선운중앙로67번길 6 (선암동)
광산구 우산동 우산동사전투표소 우산동행정복지센터(3층, 다목적실) 광주광역시 광산구 무진대로 246-12 (우산동)
광산구 월곡1동 월곡1동사전투표소 월곡1동행정복지센터(1층, 민원실) 광주광역시 광산구 사암로 306 (월곡동)
광산구 월곡2동 월곡2동사전투표소 월곡2동행정복지센터(1층, 민원실) 광주광역시 광산구 산정공원로72번길 21-12 (월곡동)
광산구 비아동 비아동사전투표소 비아초등학교(1층, 다목적실) 광주광역시 광산구 비아동원촌길 19-20 (비아동)
광산구 첨단1동 첨단1동사전투표소 첨단1동행정복지센터(5층, 대강당) 광주광역시 광산구 첨단중앙로 160 (쌍암동)
광산구 첨단2동 첨단2동사전투표소 첨단다목적체육센터(1층) 광주광역시 광산구 첨단강변로 76 (산월동)
광산구 신가동 신가동사전투표소 진만초등학교(본관동 1층, 로비) 광주광역시 광산구 목련로394번길 40-10 (신가동)
광산구 운남동 운남동사전투표소 운남동행정복지센터(3층, 대회의실) 광주광역시 광산구 목련로217번길 10 (운남동)
광산구 신창동 신창동사전투표소 신창동행정복지센터(3층, 대강당) 광주광역시 광산구 왕버들로 291 (신창동)
광산구 수완동 수완동사전투표소 수완동행정복지센터(3층, 다목적실) 광주광역시 광산구 장덕로 158 (수완동)
광산구 하남동 하남동사전투표소 하남동행정복지센터(2층, 다목적실) 광주광역시 광산구 하남대로54번길 15 (하남동)
광산구 임곡동 임곡동사전투표소 임곡복지문화관(1층, 다목적실, 임곡동행정복지센터 내) 광주광역시 광산구 고봉로 788 (임곡동)
광산구 동곡동 동곡동사전투표소 동곡동행정복지센터(1층, 다함께어울방) 광주광역시 광산구 동곡로 151-56 (하산동)
광산구 평동 평동사전투표소 평동생활역사유물전시관(1층, 평동행정복지센터 별관) 광주광역시 광산구 평동로 790 (옥동)
광산구 삼도동 삼도동사전투표소 삼도동행정복지센터(1층, 주민자치방) 광주광역시 광산구 오운로 433-1 (도덕동)
광산구 본량동 본량동사전투표소 (구)본량동중대본부(1층, 사무실), 본량동행정복지센터 별관 광주광역시 광산구 용진로 379 (남산동)

 

광주 광산구 6월 지방선거 사전투표 장소 내 투표소 찾기

 

이상으로 광주 광산구 6월 지방선거 사전투표 장소 내 투표소 찾기를 알아보았다. 사전투표는 관내 관외 선거인으로 나뉘고 7장의 투표 용지를 한번에 받게된다.